장애인 교육

정부, 점자교원 양성과 교육원 설립…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강화

ahero74 2025. 2. 28. 13:50
반응형

정부, 점자교원 양성과 교육원 설립…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강화

점자 문맹률 낮추고 교육 기회 확대 추진

정부가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권을 높이고 점자 교육의 체계를 정비하기 위해 점자교원을 양성하고 점자교육원을 설립한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점자 문맹률을 줄이고, 보다 폭넓은 정보 활용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월 28일 ‘점자법 시행령’과 ‘점자법 시행규칙’이 공식적으로 시행된다고 발표했다. 이번 법령 시행은 점자 교육의 질을 향상하고, 전문적인 점자 교원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점자교원 자격 기준 강화…전문 인력 확보 목표

점자 교육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점자를 가르칠 교원을 체계적으로 양성하며, 이에 따라 점자교원 자격을 1급과 2급으로 구분한다.

  • 1급 점자교원: 2급 자격을 먼저 취득한 후, 최소 300시간 이상의 점자 교육 경력을 쌓아야 한다.
  • 2급 점자교원: 점자 교육 경력 300시간 이상 보유자, 혹은 점자능력 검정시험 초급 이상 합격자 등이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정부는 2025년까지 점자교원 양성을 위한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한 후, 2026년에 교육을 담당할 기관을 선정하고,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점자교원을 배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점자 교육의 질을 높이고, 시각장애인의 학습 기회를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점자교육원 지정·지원…전국 단위 교육 기관 확대

점자 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점자교육원’ 지정·지원 제도가 새롭게 도입된다. 점자 관련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교육 시설 기준을 충족하는 법인이나 단체는 점자교육원으로 지정될 수 있다.

정부는 2025년부터 점자교육원을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2028년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최소 1개소씩 설립할 예정이다. 올해는 우선 7개 교육 기관을 선정해 점자 교육의 기반을 마련한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들이 보다 쉽게 점자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점자능력 검정시험 도입…점자 실력 평가 체계 마련

점자 학습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점자능력 검정시험’이 도입된다. 해당 시험은 점자 읽기와 쓰기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초급·중급·고급으로 구분된다.

  • 초급: 점자의 기본 구조와 기초적인 읽기·쓰기 능력을 평가
  • 중급: 문장 단위 점자 해독과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점자 능력 측정
  • 고급: 복잡한 점자 문장 해석 및 쓰기 능력 평가

이 검정시험은 점자교원 자격을 취득하는 요건으로도 활용되며, 교육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 운영 지침을 마련한 후 2026년부터 정식 시행될 예정이다.


점자 교육 확대의 필요성

시각장애인의 정보 접근권 보장은 매우 중요한 문제다. 현재 점자 문맹률이 높은 상황에서 점자 교육을 활성화하지 않으면 정보 격차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마련하고, 점자 교원을 양성하는 것은 시각장애인의 자립을 돕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점자교육원 설립과 점자교원 자격 기준 강화를 통해 보다 많은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익힐 기회를 얻을 것으로 기대되며, 점자능력 검정시험 도입으로 학습 성취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계도 마련된다.


향후 전망과 기대 효과

정부의 이번 조치는 단순히 점자 교육을 확대하는 것을 넘어, 시각장애인의 교육권을 보장하고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다. 전국적으로 점자 교육 기관이 확충되면, 보다 많은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익히고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할 것이다.

또한, 점자 교육을 담당할 교원의 전문성이 향상되면 교육의 질도 한층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점자 교육이 활성화됨에 따라 시각장애인의 독립적인 정보 활용 능력이 향상되고, 다양한 직업 기회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점자 교육 강화 정책이 시각장애인의 정보 격차 해소와 실질적인 사회 참여를 확대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반응형